포켓몬고 전룡 개체값과 졸업스킬 및 약점(메리프, 보송송 진화)
안녕하세요~ 오늘 소개해 드릴 포켓몬은 2세대부터 등장한 전기타입의 포켓몬인 전룡(Ampharos)입니다. 다들 노란 털이 달린 귀여운 양 한마리를 필드에서 만나보시지 않으셨나요? 그 양이 전룡의 진화 전 단계인 메리프라고 하는데요. 전기와 양을 모티브로 하고 있고, 메리프의 최종 진화체인 전룡의 이름 역시 전류에서 유래되었습니다. 한두 달 전쯤 메가 전룡 레이드도 진행해서 저도 그때 전룡의 메가 에너지를 모아 메가 전룡으로 진화를 시켜봤었는데요. 오늘은 이렇게 메가 진화까지 가능한 전룡에 대한 여러 가지 정보를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그럼 포스팅 시작하겠습니다!
전룡 진화
전룡 진화의 시작은 메리프입니다. 메리프에서 사탕 25개를 사용하여 보송송으로 진화를 합니다. 다시 보송송에서 사탕 100개를 사용하면 전룡으로 진화를 하는데요. 전룡은 메가 진화가 가능한 포켓몬이기 때문에 메가에너지 200개가 있으면 메가 진화를 할 수 있습니다. 메가 진화를 하면 꼬리와 머리에 털이 자라나 초사이어인을 연상케 하는 모습이네요. 전룡의 50레벨 최대 CP는 3225이며 베이스 스탯은 공격력 211 방어력 169 스테미너 207을 가집니다. 메가 전룡의 경우에는 50레벨 최대 CP는 4799이며 베이스 스탯은 공격력 294 방어력 203 스테미너 207을 가집니다. 또 메가 진화 시에 전기와 드래곤타입의 이중타입 포켓몬이 되는데, 전룡을 포함한 진화 전단계까지는 전기타입만 갖는 단일타입 포켓몬이지만 메가 진화를 통해 드래곤타입도 갖는 것도 인상적입니다.
전룡 최적 개체값
포켓몬 고의 전룡은 메가 진화까지 하게 되었을 경우 50레벨 최대 CP가 4800에 육박하기 때문에 레이드 컨텐츠에서 강력한 모습을 보입니다. 전기타입의 전룡은 비행이나 물타입에게 강력한 모습을 보여주므로, 고개체를 포획하신 분이라면 레이드용으로 하나쯤은 육성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고 배틀리그에서의 전룡은 어떤 위치에 있을까요? PVPOKE 기준으로 전룡은 슈퍼리그 392위, 하이퍼리그 261위, 마스터리그 177위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아무래도 단일타입 포켓몬이다보니 강점을 가지는 타입이 두가지 밖에 없어서 배틀리그에서 인기가 없는 것 같군요. 배틀리그에서 사용할 포켓몬이 정 없으시다 하시는 분을 제외하고 배틀리그에서 추천을 드리진 않습니다. 그래도 꼭 키워서 사용하실 분이라면 위의 최적 개체값을 확인하셔서 육성해주세요.
전룡 졸업스킬
다음으로 전룡의 스킬 구성에 대해 알아볼까요? 전룡의 노말 어택으로 전기타입의 차지빔과 볼트체인지가 있습니다. 스페셜 어택으로는 전기타입의 번개·전자포·번개펀치가 있고, 바위타입의 파워잼과 격투타입의 기합구슬, 그리고 레거시 스킬인 용의파동이 있습니다. 이 중 전룡의 졸업스킬은 전기타입의 차지빔과 전자포 조합으로 DPS는 11.24입니다. 레거시 스킬인 '용의파동이 더 좋지 않나'라는 생각을 할 수 있는데 차지빔과 용의파동 조합은 DPS가 8.91로 전자의 조합보다 낮기 때문에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고 배틀리그에서 전룡은 어떤 스킬을 사용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PVPOKE 기준 배틀리그에서 전룡은 볼트체인지와 번개펀치, 그리고 해방으로 얻은 격투타입의 기합구슬을 많이 사용합니다.
전룡 약점
포켓몬고 전룡은 전기타입만 가지는 단일타입 포켓몬입니다. 전룡의 약점으로 땅타입에게 160퍼센트 증가된 데미지를 받습니다. 상성에서 이점을 가져 저항하는 타입으로는 비행·강철·전기타입으로 63퍼센트 감소된 데미지를 받습니다. 전룡으로 레이드나 PVP에서 사용할 시 위의 상성 숙지는 필수입니다!
지금까지 포켓몬고 모바일게임의 전룡에 대한 정보를 알아보았습니다. PVP에서는 단일타입 포켓몬으로 순위가 높은 편은 아니지만 메가 진화라는 매력적인 컨텐츠가 있는 포켓몬으로 레이드에서는 충분히 1인분 이상을 할 수 있는 포켓몬입니다. 좋은 개체를 보유하셨다면 육성하여 레이드 컨텐츠에서 사용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다음에 또 다른 포켓몬 정보로 찾아뵙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포켓몬고 모바일 게임을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취미와 일상 및 반려동물(고양이)의 생활을 공유하는 블로그입니다.
playhodol.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