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켓몬고 핫삼 개체값과 졸업스킬 및 약점(스라크 진화)

안녕하세요! 오늘 소개할 포켓몬은 2세대에 등장한 포켓몬으로 8월 벌레타입 이벤트 메가 레이드로 얻으신 분들이 많을듯한 핫삼입니다. 핫삼(Scizor)은 스라크의 진화형으로 스라크는 사마귀를 모티브로 한 벌레·비행타입의 포켓몬입니다. 벌레타입은 포켓몬고에서 그리 자주 쓰이는 타입은 아닙니다. 상성면에서 벌레타입은 풀·에스퍼·악타입에게 강점을 가지고 있는데 다른 대체속성이 많다보니 입지가 좁은 편이죠ㅜㅜ... 하지만 핫삼은 강철타입으로도 좋은 모습을 보여주는 포켓몬이기 때문에 보유하고 있다면 상당히 좋은 포켓몬입니다. 이번 시간은 핫삼의 여러가지 졸업스킬과 약점, 최적 개체값에 대한 정보를 알려드리겠습니다.

핫삼 진화

핫삼은 스라크에서 사탕 50개와 금속코트 1개를 사용하여 핫삼으로 진화를 합니다. 스라크는 앞에서도 말씀 드렸듯이 벌레·비행타입인데 핫삼으로 진화를 하면 벌레·강철타입의 포켓몬으로 변합니다. 금속코트를 사용해서 진화를 해서 그럴까요? 핫삼은 메가진화(메가에너지 200개 필요)를 통해 메가 핫삼으로도 진화가 가능합니다. 8월에 있었던 벌레타입 이벤트 시기에 메가레이드 컨텐츠로도 등장했었죠. 벌레타입의 메가 독침붕은 내구성이 약해 부족한 폼을 보이지만 메가 핫삼은 그를 대체할 좋은 포켓몬이기도 합니다. 핫삼의 50레벨 최대 CP는 3393이며 베이스 스탯은 공격력 236 방어력 181 스테미너 172를 가집니다.

핫삼 최적 개체값

핫삼은 메가진화가 가능한 포켓몬으로 레이드에서 메가진화를 하고 벌레타입으로 사용한다면 성능이 굉장히 좋은 편입니다. 하지만 강철타입으로 활용했을 경우에는 강철타입의 아이콘 같은 존재(디아루가, 메타그로스)들이 있기 때문에 아주 좋다라고 말할 수는 없을 것 같습니다. 또 고 배틀리그에서 핫삼은 슈퍼리그 342위, 하이퍼리그 256위, 마스터리그 151위에 위치해 리그에서도 사용이 많은 편이 아닙니다. 하지만 애정으로 배틀리그에서 사용하실 생각이시면 위 표를 참조하셔서 포획한 개체 중 좋은 것을 찾아 키우시길 바랍니다.

핫삼 졸업스킬

핫삼이 보유하는 노말 어택은 연속자르기와 불릿펀치를 가지고 있으며, 스페셜 어택으로는 시저크로스·아이언헤드·깜짝베기가 있습니다. 노말이나 스페셜 모두 기술이 몇개밖에 없기 때문에 꽤나 단조롭습니다. 핫삼의 졸업스킬로는 벌레타입의 경우 연속자르기와 시저크로스를 사용하고, 강철타입으로 사용시에는 불릿펀치와 아이언헤드를 사용합니다. 이 중 벌레타입의 기술 조합이 DPS 12.76으로 가장 높습니다. 고 배틀리그 마스터리그에서는 PVPOKE 기준 연속자르기·깜짝베기·시저크로스를 사용하는데 PVPOKE에서 봐도 각 리그별로 주로 사용하는 스킬이 다릅니다. 배틀리그에서 사용을 원하시는 경우에는 자신의 조합에 맞춰서 스킬구성을 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핫삼 약점

다음으로 포켓몬고 핫삼의 약점과 저항 정보입니다. 벌레타입과 강철타입의 이중타입으로 구성된 핫삼은 불꽃타입에게 이중약점이 있습니다. 무려 256퍼센트의 데미지를 받기 때문에 핫삼을 사용하실 때에는 불꽃타입을 피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저항하는 타입으로는 풀·독타입에게 39퍼센트 감소된 데미지를 받고, 벌레·드래곤·페어리·얼음·노멀·에스퍼·강철타입에게 63퍼센트 감소된 데미지를 받습니다. 핫삼이나 핫삼을 이용한 레이드나 배틀을 할 때에 참고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지금까지 모바일게임 포켓몬고의 핫삼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배틀리그에서 자주 사용되지 않고 스킬구성이 단조롭다는 단점이 있는 포켓몬이지만 메가진화를 할 수 있어 최대 CP를 올릴 수 있다는 점이 매력적인 포켓몬입니다. 개체값이 높은 스라크를 포획하셨다면 핫삼으로 진화해 사용해보는 것은 어떨까요? 이상으로 오늘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포켓몬고 모바일 게임을 기반으로 하여 다양한 취미와 일상 및 반려동물(고양이)의 생활을 공유하는 블로그입니다.

playhodol.tistory.com